주러시아 대한민국 대사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러시아 대한민국 대사관은 대한민국과 러시아 간의 외교 관계를 위해 러시아 모스크바에 설치된 대한민국 외교 공관이다. 1990년 1월 30일 주모스크바 대한민국 영사처로 시작하여, 1990년 10월 주소련 대한민국 대사관으로 승격되었고, 1991년 12월 27일 러시아 연방 승인에 따라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대사관은 정치, 경제, 영사 등 다양한 부서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르메니아를 겸임한다. 또한, 모스크바를 포함한 러시아 연방 내 여러 지역을 관할하며, 이르쿠츠크, 상트페테르부르크, 블라디보스토크에 영사관을 두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스크바 주재 공관 - 주러시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사관
주러시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사관은 러시아에 주재하는 북한의 외교 공관으로, 주영하, 이상조, 리신팔, 김충원, 정두환, 염태준, 권희경, 김재봉, 손성필, 박의춘, 김영재, 김형준, 신홍철 등의 역대 대사들이 북소 및 북러 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외교 활동에 참여했다. - 모스크바 주재 공관 - 주러시아 오스트리아 대사관
주러시아 오스트리아 대사관은 1906년 니키타 라자레프가 설계한 신고전주의 양식의 건물인 니콜라이 민도프스키 하우스를 사용하며, 1927년부터 오스트리아 대사관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 대한민국-러시아 관계 - 주부산 러시아 총영사관
주부산 러시아 총영사관은 대한민국 부산광역시에 위치하며, 부산, 울산, 대구, 광주, 경상도, 전라도 지역의 영사 업무를 수행한다. - 대한민국-러시아 관계 - 주한 러시아 대사관
1884년 조선과 러시아 제국 간 외교 관계 수립 후 단절과 재개를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는 주한 러시아 대사관은 서울특별시에 위치하여 대한민국 내 여러 지역을 관할하는 러시아 연방의 외교 공관이다.
주러시아 대한민국 대사관 - [대사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한국어 명칭 | 주러시아 대한민국 대사관 |
한자 명칭 | 駐러시아大韓民國大使館 |
로마자 표기 | Ju Reosia Daehanminguk daesagwan |
위치 | 모스크바, 러시아 |
주소 | 56 Plyushchikha Street, Khamovniki District |
웹사이트 | 주러시아 대한민국 대사관 |
외교 관계 | |
관할 국가 | |
개관 | 1990년 10월 30일 (주소련 대한민국 대사관 설립), 1991년 12월 27일 (주러시아 대한민국 대사관으로 개편) |
인적 자원 | |
대사 | 이도훈 |
기타 |
2. 연혁
- 1990년 1월 30일 주모스크바 대한민국 영사처 창설 요원들이 모스크바에 도착했다. 임시 사무소는 메즈두나로드나야 호텔 내 사무동의 KOTRA 사무실이었다.[1]
- 1990년 2월 11일 대한민국 정부는 러시아 외무부 영사국에 주모스크바 영사처 개설을 정식으로 통보했다.[1]
- 1990년 3월 2일 공로명 초대 주모스크바 영사처장이 부임했다.[1]
- 1990년 3월 주모스크바 영사처 사무소는 코스모스 호텔로 이전했다. 이후 레닌스키 프로스펙트에 있는 스프로스(Spros) 호텔로 이전했다.[1]
- 1990년 9월 30일 한국과 소련이 외교 관계를 수립했다.[1]
- 1990년 10월 30일 주소련 대한민국 대사관으로 승격되었다.[1]
- 1991년 12월 27일 대한민국 정부가 러시아 연방을 승인함에 따라 주러시아 대한민국 대사관으로 개편되었다.[1]
- 1992년 2월 대사관은 독립 청사(Spridonovka 14번지(외무성 영빈관 인근)에 있는 구예멘 대사관저)로 이전했다.[1]
- 1993년 8월 한국과 러시아 외무부는 대사관 부지를 상호 교환하기로 합의했다.[1]
- 2003년 11월 17일 주러시아 대사관 신청사가 완공되어 개관했다. 개관식에는 양국 외무장관이 참석했다.[1]
3. 역대 공관장
대수 | 이름 | 임기 |
---|---|---|
제1대 영사처장 | 공로명 | 1990년 3월 2일 ~ 1990년 10월 |
제1대 대사 | 공로명 | 1990년 10월 ~ 1992년 1월 |
제2대 대사 | 홍순영 | 1992년 2월 ~ 1993년 3월 |
제3대 대사 | 김석규 | 1993년 4월 ~ 1996년 1월 |
제4대 대사 | 이정빈 | 1996년 3월 ~ 1998년 4월 |
제5대 대사 | 이인호 | 1998년 5월 ~ 2000년 3월 |
제6대 대사 | 이재춘 | 2000년 3월 ~ 2002년 2월 |
제7대 대사 | 정태익 | 2002년 3월 ~ 2004년 12월 12일 |
제8대 대사 | 김재섭 | 2004년 12월 15일 ~ 2007년 4월 15일 |
제9대 대사 | 이규형 | 2007년 4월 18일 ~ 2010년 2월 21일 |
제10대 대사 | 이윤호 | 2010년 2월 28일 ~ 2011년 11월 9일 |
제11대 대사 | 위성락 | 2011년 11월 16일 ~ 2015년 5월 15일 |
제12대 대사 | 박노벽 | 2015년 5월 22일 ~ 2017년 10월 24일 |
제13대 대사 | 우윤근 | 2017년 10월 25일 ~ 2019년 5월 13일 |
제14대 대사 | 이석배 | 2019년 5월 13일 ~ 2022년 8월 12일 |
제15대 대사 | 장호진 | 2022년 8월 12일 ~ 2023년 4월 13일 |
제16대 대사 | 이도훈 | 2023년 7월 ~ |
4. 조직
- 정치과
- 경제과
- 공공 외교과
- 영사과
- 관리과
러시아에는 상트페테르부르크, 이르쿠츠크, 블라디보스토크에 3개의 대한민국 총영사관이 있다.
5. 관할 구역 및 겸임국
주러시아 대한민국 대사관은 아르메니아를 겸임국으로 두고 있다.[1]
5. 1. 관할 구역
주러시아 대한민국 대사관에서는 다음 지역을 관할하며, 아르메니아를 겸임하고 있다.관할 구역 |
---|
6. 대한민국-러시아 관계
대한민국-러시아 관계 문서를 참조하여 내용을 작성할 수 있다.
7. 러시아 내 대한민국 공관
러시아에는 주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한민국 총영사관, 주블라디보스토크 대한민국 총영사관, 주이르쿠츠크 대한민국 총영사관 3곳의 총영사관과 주유즈노사할린스크 대한민국 출장소가 있다.
8. 같이 보기
- 대한민국-러시아 관계
- 주한 러시아 대사관
- 주부산 러시아 총영사관
- 주러시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사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